일단 이 글은 개인적인 의견이며, 생산적인 비판 또는 지적은 환영합니다.


저는 아베가 한국을 상대로 경제 압박을 실행하고 있는 것은 평화 헌법 파기 또는 수정을 위한 행동이라고 보여집니다.

최근 냉전 시절의 핵탄두들이 오래 되었고, 이것을 일부라도 교체할 필요성은 핵무기를 보유한 각국에서 느끼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이것을 교체하게 된다면 지대지 미사일과 핵탄두가 무기 사업에서 큰 시장으로 떠오를 것으로 예측되어지고, 이 시장에 뛰어드는 것이 가능하다면 막대한 수익을 안는 것이 가능하죠.

일본은 야심차게 시행하고, 잘 지속되어 가던 아베노믹스가 브렉시트라는 예상 외의 변수에 의해 타격을 받고, 소비세의 증가로 인해 국내 소비가 감소했습니다. 물론 소비세의 증가는 필연적인 부분이긴 했다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국내 소비가 감소한 이 상황에서 아베는 돌파구를 찾아야 했겠죠. 그걸 모를만큼 아베는 멍청한 사람이 아니구요.

방금 말씀드렸던 부분처럼 지대지 미사일 또는 핵탄두가 무기 사업에서 큰 시장으로 떠오를 것으로 예측되어 진다는 부분이 아베가 노린 돌파구라고 생각되어집니다. 평화헌법 9조에 의해서 일본은 공격용 무기를 보유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고로 공격용인 지대지 미사일 또는 핵탄두는 보유가 불가능 하죠. 하지만 일본의 방위산업체들은 2차대전에 부역했던 시절부터 고도의 기술을 쌓아왔고, 이러한 무기들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여집니다. 그래서 아베는 무기 산업을 일본 경제의 돌파구로 본 것이죠.

자자, 그렇다면 왜 평화 헌법 파기 또는 수정을 위해서 한국에 대한 제제를 실시하느냐? 답은 간단합니다. 가상 적국이 필요한 것이죠.

일본은 과거, 북한을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하고(또는 국민들에게 인식시키고) 평화 헌법 파기를 위한 행동을 보여줬습니다. 고로 북한이 가상 적국의 포지션을 수행하고 있었다는 점이죠. 그런데 북한이 쇼맨십을 자행합니다. "우리는 평화를 원한다"라는 뉘앙스로 말이죠. 또한 북-미, 남-북 관계가 평화적인 스탠스로 흘러갑니다. 물론 북한이 핵을 포기 할 리는 없다고 보여집니다만, 분위기 자체가 일시적이더라도 평화적이라는건 일본에게 있어서 평화 헌법 파기의 걸림돌이 되는거죠. 그 걸림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새로운 가상 적국을 찾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남-북을 같이 가상 적국으로 분류하는 것이죠. 여기서 아베는 두 번째 선택지를 선택했다고 보여집니다.

또한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가 있는데, 일본 기업들이 너무나도 조용하다는 것입니다. 제제에 관련된 일본 기업들은 한국과의 거래가 중단되면서 극심한 타격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에게 큰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으며, 어떠한 분쟁 또는 국외로의 호소 등도 진행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저는 이것을 일본 정부의 의견에 기업들의 암묵적인 동의가 깔려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라는게 저의 생각이고, 사챈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하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