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장관은 주 52시간 근무제가 예외 규정을 두지 않은 경직된 제도라고 지적했다. 그는 “예를 들어 R&D(연구·개발) 연구소 같은데 뭔가를 연구하는데 8시간을 지켜서 할 수 없는 연구가 많지 않느냐”라며 “주 52시간이 그런 부분에 대한 예외규정을 두지 못한 것에 대해 경직됐단 표현을 쓴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 52시간 근무제로 인해 특히 제조업 현장이 애로를 겪을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도 냈다. 박 장관은 “주 52시간 (근무제로) 문제 되는 건 제조업으로, 지금은 2교대로 돌리는데 주 52시간에 맞추려면 3교대로 바꿔야 한다”면서도 “3교대로 바꿔서 사람을 뽑은 만큼 물량이 많이 들어오면 되지만 (그렇지 않고) 어정쩡하니 2교대를 계속할 수도 없고 3교대를 하자니 손해를 볼 것 같다는 것이 주 52시간이 안고 있는 고민거리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이어 “근로자 입장에서도 주 52시간이 돼서 좋다고 생각하지만 월급이 줄어드는 부분이 있다”고 덧붙였다.

박 장관은 이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스마트공장을 도입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2번의 시프트(교대) 근무를 하는 곳이 3번의 시프트 근무로 바꿔야 하는데 인력을 뽑기에는 굉장히 힘들다”며 “스마트공장을 하게 되면 3번의 시프트 근무를 할 정도의 인력 수요가 덜 필요한 곳이 생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래서 스마트공장과 주52시간제는 같이 물려서 돌아가는 하나의 툴”이라고 덧붙였다.



연구개발 시간이 부족하면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면 되잖아요 깔깔깔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