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만약 특정한 사회 집단의 서울대 입학 비율이 20%가 넘는다면? 엄청나게 학습 능력이 뛰어나거나, 아니면 매우 높은 수준의 교육적 지원을 받은 집단일 것이다. 뉴스타파가 학력과 직업 등을 확인한 친일파 후손 1,177명 가운데 268명이 서울대 출신으로 나타났다. 비율로 따지면 22.8%다. 연세대학교 68명, 고려대학교 51명을 합치면 이른바 SKY 대학 출신이 3분의 1에 달한다.

물론 이 1,177명은 각종 검색 작업을 통해 확인이 가능한, 이미 나름대로 성공한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둬야 한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SKY 출신이 ⅓ 이라는 것은 지나치게 높은 수치다. 단순한 개인적 재능 이상의 배경이 작용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특히 서울대의 경우는 역대 총장 가운데 3명이 친일파 후손으로 나타났다. 서울대의 전현직 교수 36명도 친일파 후손으로 조사됐다. 단일 대학교 중에서는 가장 많은 수다.

친일 후손들의 화려한 학력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해방 이후 수십 년 동안, 아니 현대도 한국 사회에서 성공의 확실한 보증 수표는 명문대 졸업 경력과 선진국 유학의 조합이다. 그래서 친일 후손들의 유학 경험 비율을 조사해 봤다. 결과는 1,177명 가운데 319명, 비율로는 27%였다.

우리 사회에서 유학을 경험한 사람들의 비율은 어떻게 될까? 통계청에도 해당 자료는 없다. 다만 연도별 유학생 출국자들의 숫자를 통해 추정해볼 수 있을 뿐이다. 1970년대 이전에는 한 해 유학생이 천 명이 채 되지 않았다. 많게 잡아서 천 명이라고 치면, 50년대와 60년대를 통틀어 20년 동안 유학을 경험한 인구는 2만 명 정도 되는 셈이다. 70년도 당시의 인구가 3천 2백만 명 정도였던 것을 감안하면, 70년대 이전까지 유학을 경험한 사람은 전체 인구 대비 0.06%에 불과하다. (1971년부터 2000년까지 유학생 출국 숫자는 모두 125만 명이다. 2000년 당시 인구가 4천 7백만 명이므로 2000년 시점에서 그 이전 30년 사이 유학을 경험한 사람의 비율은 전체 인구의 2.6% 정도로 추산할 수 있다.)

뉴스타파가 찾아낸 친일 후손들의 유학 경험 비율을 출생연대별로 보면, 1900년대생부터 1940년대 생의 유학 경험 비율이 30%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유학 경험이 매우 희귀했던 70년대 이전을 비교 대상으로 상정할 경우 친일 후손들의 유학 경험 비율은 일반인들보다 무려 500배 높은 것이다.

친일파 후손들의 유학 국가를 보면 전체의 64%가 미국이었다. 두 번째로 많은 국가는 17%를 차지한 일본이었고 독일, 프랑스, 영국이 뒤를 이었다. 일본 유학의 경우 80% 이상이 해방 전 세대였다.


이런데도 머한에 안사는 친일파가 있냐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