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m.news.naver.com/read.nhn?aid=0001601759&oid=016&sid1=105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와 도난 및 분실 휴대전화 정보를 공유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도난 및 분실 휴대전화 정보를 GSMA의 블랙리스트와 공유함으로써 해당 기기가 국내와 해외에서 부정 사용되는 경우를 사전에 차단하는 식이다. 기기 정보 공유에 따른 부정 사용 차단은 올해 연말경부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역은 아시아를 포함해 미국, 남미, 유럽 등 20개국에 이른다.


이통3사와 GSMA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위 케어(We Care)’ 캠페인을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초로 국내서 진행키로 했다. 캠페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와의 협업으로 운영된다.


줄리안 고먼 GSMA 아시아 대표는 “한국의 휴대폰 사용자 보호를 위해, 모바일 업계와 정부가 협업하는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협약은 국가적 차원의 모바일 생태계가 어떻게 소비자들에게 진정한 혜택과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지를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협약에 따라 KAIT가 운영하는 중앙장비식별번호 레지스트리(C-EIR)는 GSMA의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다. GSMA와 KAIT는 블랙리스트에 오른 IMEI 데이터와 도난 및 분실된 기기 정보를 서로 교환하며, 해당 기기가 국내외에서 범죄에 활용되지 못하도록 사전에 차단한다. IMEI 번호가 있는 단말은 모두 대상에 포함된다.


GSMA의 블랙리스트는 세계 42개국 125개 이상의 이동통신 기업들의 정보 공유를 통해 매일 업데이트 된다. 현재 약 10억명 이상의 이동통신 가입자 보호에 활용하고 있다.


국내서는 KAIT가 2012년 5월부터 국내 분실 및 도난 단말기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IMEI 통합관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