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적으로 말해자면 그것이고, 

사랑하는 아이를 음미하며 

여러번에 걸쳐 꿀떡이며 삼키고 싶은 마음. 


달콤한 한모금에 마음에 칼질 한 번, 

멈추지는 않는다. 

칼자국이 늘수록 오히려 기쁘기만하다. 


난도질은 좋지 않고 반드시 한 모금씩, 

정성들여 긋는다. 

사랑은 마약이라 고통을 모른다. 


상대방을 정성스레 마음에 새긴다. 

단지 이별 이후에 몰려드는 아픔은 

난도질의 격렬함에 비례하기에 


그게 두려운 나는 한줄기조차 

조심스레 그을 수 밖에 없었다. 

완성품은 너였고 격렬함은 덜했지만 


깨어난 후에는 왠지 

더욱 아프기만했다. 


차라리 깊지라도 않았으면 좋으련만. 


하지만 이제 배웠다. 

천천히 스며들더라도

깊을수록 또한 아프다는 것을 


그렇다면

앞으로는 얕고 작게 긋는다면

아프지 않을 수 있을까,


그 또한 모를 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