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은 과거에 그랬듯 가까운 미래에도 세계에서 가장 효율적인 장거리 운송 수단으로 각광받을 것이기에 원활한 해상 교역을 위해서는 요충지가 정치적으로 안정되어야 함.


 현대에 운송되는 화물 가운데 가장 중요하며 상업용 화물에서 중량 기준으로 절반을 차지하는 원유 이동 경로를 따져봤을 때 호르무즈 해협이 하루 1530만 배럴로 가장 중요한 길목임. 참고로 이 수치는 미국의 원유 수입량과 대략 일치함.


 다른 요충지로는 다르다넬스-보스포루스, 바브엘만데브(아덴), 수에즈 운하(수메드 파이프라인), 파나마 운하, 말라카 해협임. 한중일로 향하는 원유는 대개 말라카 해협을 지나는데, 하루에 1100만배럴 정도 되는 원유가 통과.


 위에 말한 요충지 중에 하나라도 급작스럽게 폐쇄되면 세계 경제는 대혼란에 빠짐. 예를 들어보면, 1956년 이스라엘과 이집트의 갈등과 1967년 6일 전쟁으로 일어난 수에즈 봉쇄 사태가 있음. 미국의 적들이(이란, 중국, 아랍 국가 등) 쉽게 공격할수 있는 위치에 요충지가 몰려있어 수년 안에 그런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은 거의 100%라고 봐야함.


 만약 그런 일이 벌어진다면 플라스틱의 주요 원료이자 중량, 화폐가치, 전략적 중요성으로 인류 문명을 지탱하고 있는 석유의 공급 경로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지고, 세계의 경제활동은 마비됨. 그럼 주요 수로의 정치경제학적 가치와 요충지를 두고 일어난 역사적 사건을 알아보겠음.


4. 말라카 해협

 극동의 일본, 한국, 중국으로 향하는 원유는 말라카 해협을 지나는데(하루 1100만 배럴), 이 지역은 해적과 자말 이슬라미야 같은 테러 집단이 활동하는 지역이고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세 나라가 준설 비용을 놓고 분쟁을 벌이는 지역임. 더 북쪽에 있는 해역인 남중국해는 중국이 영향력을 한창 확대하고 있어서 미-중 분쟁의 선두에 있는 지경. 현재는 미국 7함대가 해협을 순찰하고 있지만 중동과 유럽으로 향하는 원유와 상품 통제에 중국의 관심이 커지면서 미-중 갈등은 불가피해 보임.


5. 파나마 운하

 1914년 완공된 이 운하는 세계적인 난공사로 유명함. 16세기에 운하 건설이 제안됐지만 미국에 의해 실현되기까지는 아주 오래 걸린 지역임. 1989년 파나마 독재자 마누엘 노리에가가 기예르모 엔다라의 대통령 당선을 취소하자 미국이 침공하는 사건이 벌어짐. 표면적으로는 엔다라를 복권시킨다는 목적을 내세웠지만, 같은 사건이 온두라스나 파라과이에서 일어났다면 미군이 직접 개입하거나 그 나라 지도자가 마이애미 감옥으로 향하는 일은 없었을거임. 원유 수송량은 일 30만 배럴뿐이지만 그 지리적 중요성 때문에 미국과 파나마의 갈등 원인이 되기도 했고, 파나마 국민들의 압도적 지지로 확장 공사를 하기도 했음.


6. 북서항로

 현재 널리 쓰이는 항로는 아니지만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10여년 안에 연중 항해가 가능한 지역이 될 수도 있음. 미국은 이 항로를 국제수로로 만들기를 원하지만, 보다시피 동쪽 입구인 데이비스 해협 등 주요 요충지를 장악하고 있는 캐나다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음. 1969년 험블 오일의 탱커인 맨해튼호가 처음 상업적 목적으로 통과했고, 1985년 미국 해안경비대의 커터(소형 쾌속선)가 통과하자 캐나다는 공식적으로 항의를 제기함.


 북서항로가 개방되면, 동아시아에서 유럽이나 북미 동부로 갈 때 베링 해협을 거쳐서 가는 경로가 활용될 수 있는데, 현재 수에즈 항로보다 거리가 3분의 1 단축될 수 있음. 유럽에서 북미 서부로 가는 새로운 경로 역시 가능함. 극지 횡단 경로가 현실로 다가오면 베링 해협의 통제를 놓고 가뜩이나 날카로운 미-러 긴장이 고조될 가능성이 농후함.


역시 너무 장문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