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호 운임체계(누리로 동일) - 40km까지 2600원/이후 1km당 65원

※새마을호 운임체계(itx새마을/itx마음 동일) - 50km까지 4800원/이후 1km당 96.36원


1. 무궁화호 퇴역 후 무궁화호 등급을 계승한 등급을 신설.


2. 차량은 현재의 2량짜리 광역철도 차량을 개량하여 신설(4문형->2문형, 화장실 설치, 작년에 퇴역한 CDC 디젤동차처럼 롱시트와 등받이만 좌우로 재껴지는 형태의 크로스시트 병용, 최고속도 상승)


3. 기본요금 20km까지 1900원, 20~30km 2600원, 30~40km 3300원, 40~50km 4000원, 50km 이상은 새마을호와 동일한 운임체계 부여(대만 쯔창하오의 제도에서 유래. 대만 쯔창하오는 자유석에 한해 구간차와 동일한 교통카드 탑승이 합법이며, 70km까지는 구간차와 같은 요금으로 이용 가능)


4. 이러한 요금체계로 인해 장거리 이용은 특급으로 자연스레 유도됨


---------------------------


를 구상했는데, 이런 반박이 들어왔더라고.


'광역철도 2량짜리 말하는거면 그거 단가 생각보다 비싼데(현대로템제 대구권 광역철도 1량당 38억원으로 기존 현대로템제 광역철도차량에 비해 2배 조금 넘게 비싸며, 우진산전이나 다원시스제 광역철도차량과는 3배 가까이 차이가 벌어짐) 그럴바엔 최저가입찰로 itx-마음 4량짜리 더 뽑아서 차량 도입단가를 떨어트리는게 더 낫다고 판단할거 같음. 코레일 입장에서도 그게 운임 더 받아먹을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고. 물론 기본거리 40km로 줄이고 운임 3900원으로 하는 정도의 변화는 필요하다고 보지만...'


근데 대구권 광역철도가 저렇게 비싸진게 2량짜리 광역철도 설계를 처음 한거라 그 설계값이 전부 반영되어서 비싸졌다고 하더라고. 그래서 이후 차량에서는 설계가격이 반영되지 않으니 더 싸지지 않을까 생각이 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