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섬진강

최근 수정 시각:

1. 개요2. 특징3. 지류4. 기타

1. 개요 [편집]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발원하여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만까지 흐르는 강이다.

2. 특징 [편집]

길다. 우리나라에 길이가 긴 강들이 많은데, 그 중에 하나로, 호남에서는 가장 긴 강이 섬진강이다. 이름 있는 강들 중에서 유일하게 전북과 전남에서 모두 흐르는 강이다. 남해안으로 흘러들어가는 강 중 낙동강 다음으로 큰 강이 섬진강이다.

전라남도 광양시와 경상남도 하동군, 구례군순천시곡성군[1], 곡성군남원시의 경계 역할을 한다.

강 유역이 좁은 편이다. 호남 동부의 산지를 주로 지나가기 때문이다. 그나마 있는 유역이 남원 남부와 곡성읍이 가장 큰 평야이다. 구례읍도 섬진강 유역의 평야에 위치한 도시이다.

옥정호에서 물을 저수하고 수량을 조절하며, 지류인 보성강에서도 주암호에 물을 저장한다. 넓게 보면 주암호와 도수터널로 연결된 상사호까지도 섬진강의 수량에 영향을 준다.

3. 지류 [편집]

순창군 서부의 추령천, 남원시내를 가로지르는 요천, 보성군에서 흘러들어오는 보성강이 섬진강의 지류이다.

언뜻보면 보성이 해안 쪽이니까 보성을 통해 바다로 물이 나갈 것 같지만, 보성이 더 고지대라서 남에서 북으로 물이 흐른다.

4. 기타 [편집]

2020년 홍수 때 섬진강 물이 불어서 곡성과 구례읍내가 잠기는 사태가 있었다. 바로 이웃한 하동읍도 침수 피해를 보았다.

섬진강의 이름을 딴 시설로는 곡성군의 테마파크 관광지인 곡성섬진강기차마을, 남해고속도로의 섬진강 휴게소가 있다.
전라도의 하천 목록
[ 펼치기 · 접기 ]
금강 수계
금강(백마강)
강경천
만경강 수계
소양천
전주천
동진강 수계
정읍천
고부천
원평천
영산강 수계
드들강(지석천)
고막원천
함평천
탐진강 수계
탐진강(예양강)
섬진강 수계
오수천


[1] 원래 구례군과 곡성군의 경계는 섬진강이었으나, 고달면이 곡성군에 편입되면서 곡성군 일부가 섬진강 너머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다. https://arca.live/b/gwangju/61312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