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졸려...' 부스스하게 일어난 머리를 부여잡으며 정수가 일어났다. 어제 정수는 부조리에 대한 철학 책을 읽다가 그만 잠잘 시간을 놓쳐버렸다. 애써 졸음을 쫓아내려 눈을 비비지만 졸음은 쉬이 달아나지 않는다. 끼니를 때우려 편의점에서 사둔 즉석식품들을 전자레인지에 데우는 동안 그는 어제 읽었던 책에 대한 생각이 들어 시간도 때울 겸 자신이 사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본다. 딱히 없다. 따지자면 담배가 주는 즐거움 정도. 쉽게 포기할 수 있는 인생인가. 전자레인지가 띵, 하고 소리를 냈다.


점심시간, 정수는 옥상에서 담배를 꺼내 입에 물었다. 라이터로 담배에 불을 붙이니 이제야 사는 듯 하다. 할 것도 없어 잡생각에 빠지니 문득 공허감이 고개를 들었다. '내가 외로운가?' 정수는 확신이 안 들었다. 공허감의 근원은 우울인가 아니면 외로움인가, 아니면 또다른 무엇인가. 그는 곰곰이 생각하다 담배를 거의 다 피워가자 생각을 쓰레기 구겨버리듯 접어버리고는 저 무의식의 건너로 던져 보냈다. 그러고나선 담뱃불을 대강 꺼버리고 담배를 버렸다. 이제는 회사로 돌아가야할 시간이다.


"또 담배 피우셨죠?" 안으로 들어서자 정수의 후배 남민이 약간 장난스럽게 물어봤다. "응." 정수가 귀찮다는 듯 짧게 답했다. "어떻게 알아챘는지 안 물어봐요?" "냄새 때문, 아니야?" "그것도 그렇지만 선배가 옥상에 오래 있을 때는 항상 담배를 피우시고 계시더라고요, 거기서 알아챈 거죠." 정수가 살짝 징그럽다는 듯이 말한다. "으, 너 나를 관찰하는 게 취미냐?" 남민이 난처한 듯 웃으며 말한다. "하하하, 전에 어렸을 적 꿈이 탐정이라고 말했잖아요." "홈즈가 상대를 척 보고는 바로 상대에 대해 줄줄이 읊어대는 그 장면들이 그렇게 멋있을 수가 없어서, 그걸 따라하려고 상대를 관찰하는 습관이 들었어요." "아, 그건 그렇고 선배 요즘 조금만 걸어도 쉽게 지친다고 하셨는데, 담배 끊으시는 게 좋지 않을까요?" 정수가 딱 잘라 말한다. "안돼." "담배는 내 삶의 원동력이야, 담배를 끊느니 차라리 죽고 말란다." "아니 그 정도예요? 담배 말고도 스트레스 해소 방법은 얼마든지 있는데, 왜 굳이 몸에 안 좋은 담배만 고집하세요?" 남민이 놀라운 표정으로 물었다. "몸도 안 좋아져 가는데 담배만 고집하시다니, 비합리적이잖아요." "얌마 몰라, 그냥 내 마음이 그래." "그러는 너도 만날 어린 시절 꿈 얘기를 하잖냐." "이젠 이룰 수도 없는데 왜 그래?, 그것도 비합리적이긴 마찬가지야." "왜 이룰 수 없어요?" "탐정 불법이거든." "이젠 합법이에요, 2020년에 합법화됐거든요." "그래, 너 잘났다." "아니 뭐 그래도 이제 전 탐정이 될 일은 없으니 선배 말도 맞죠." 정수의 말에 짜증이 섞인 것을 뒤늦게 안 남민이 당황해하며 말을 이었다. "그래, 일이나 하자." 나름 걱정해 준 후배에게 짜증을 낸 것이 한심해진 정수는 이만 대화를 끝냈다. 


일을 마치고 돌아온 정수는 무정이 형상화된 듯이 적적한 집에 들어섰다. "..." 정수는 저녁을 거른 채 담배를 피우러 아파트 옥상으로 간다. 담배갑 안을 들여다보니 이제는 한 대밖에 안 남았다. 물끄러미 아래를 바라보던 정수는 순간 후배의 말을 떠올린다. '담배는 그만 끊을까?' 담배를 끊는다면 공허감이 묻힐 것도 같다. 이쯤 되니 아래로 떨굴까 싶어진다. 오늘따라 옥상이 위태롭다. 놓는 쪽으로 마음이 기울자 문득 후배의 다른 말이 생각난다. '혹시 모르지.' 정수는 말도 안되는 생각을 하며 마지막 남은 담배를 물고는 다시 불을 붙였다.

_____

처음 써보는 소설이라 주제 전달이 미흡한 점등 제가 보기에도 부족한 점이 참 많습니다. 여러분의 평가를 들려주시면 매우 감사하겠습니다. 덧붙여 제 글은 종종 수정되고는 하니 기억에 남는 글이 있으시다면 가끔씩 들려주시면  쓰는 입장에서 매우 기쁠 것입니다. 부족한 글을 읽어주시는 점 항상 감사하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