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주의를 기반으로 어느정도 국제주의의 해석을 첨부한 논리가 역사적으로 있어왔던 국가간의 갈등이나 협력을 포함한 관계들을 가장 설득력 있게 설명하는건 맞지만 이걸 절대적으로 옳은 행동강령이라고 믿어버리는건 잘못됬다고 본다.


패권유지를 목적으로 미국이 냉전기에 남미에 깽판친 부작용으로 중남미 전반에서 증가한 반미감정이 미국을 크게 위협하진 않더라도 이것 때문에 미국 입장에서 남미에서 종종 귀찮은 일이 터지는 것도 사실이고. 지금 중국만 봐도 세계적으로 양아치짓 하면서 쌓은 악감정이 앞으로 자국에게 불리하게 작용했으면 작용했지 유리한 요소는 아니지.

미국이 이라크나 아프간에서 삽질한 전례를 보면, 국가 특히나 초강대국이나 지역 패권국들의 힘이 개인이나 왠만한 조직과는 비교불허할 정도로 강력한건 사실이지만 또 정부나 정권이 그 국가사회 전체의 역량을 대변하는 것도 아님.


현실주의 뽕에 빠져서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지 않으면, 정부가 동원가능한 역량에 대한 과신으로 잘못된 판단을 내린 채 그 판단을 현실주의로 포장하는 실수를 저지를 수 있다고 본다.


게다가 권위주의 국가의 경우 지도층의 결정이 항상 합당한 것도 아니고, 민주주의 국가에서의 여론역시 명분이나 국민감정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경향도 고려해야지.


한미동맹이나 6.25. 지원도 동아시아에서의 미국의 영향력 유지와 강화를 위한 현실주의적 측면이 있으면서도, 1세계 질서를 유지하려는 주도국으로서의 신뢰를 높이기 위함이기도 했고, 중국의 21세기 팽창정책도 지역패권 확보와 패권경쟁을 위한 행보이기도 하면서 권력자 개인의 성향과 자국내 국수주의라는 요소를 배재하기 힘들다고 본다. 


나도 지금 생각이 잘 정리가 안되서 글이 좀 너저분 하긴 한데, 현실주의가 굉장히 강력한 현상분석의 도구인것도 맞고, 또 판단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해석이지만 현실주의만으로 외교 정책의 드라이브를 강력하게 밟아버리면 그만큼 큰 부작용 역시 감내할수밖에 없음. 심지어 현실주의의 분파도 여러가지고. 또 만약 현실주의가 옳은 경우에도 특정 국가의 정책적 판단이 과연 '현실적'이었나 하는 점에서도 이견의 여지가 있을 수 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