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시계외노선

최근 수정 시각:

1. 개요2. 목록
2.1. 광주-전남 간 시계외노선2.2. 여순광 시계외노선2.3. 전주-근교 시계외노선
2.3.1. 봉동,삼례,고산 방면2.3.2. 관촌,상관,구이 방면
2.4. 익산시 시계외노선2.5. 목포-근교 시계외노선

1. 개요 [편집]

시계외노선은 시 경계를 넘는 노선이라는 의미이다. 시외버스나 기차는 도시와 도시를 잇는 게 기본이라 해당이 안 되고 일반적으로 시 경계를 넘는 시내버스를 칭한다. 보통 특광역시/시군 단위로 구분한다[1]. 서울시 마을버스처럼 구 단위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가 있는 경우는 구 단위로 시계외노선을 구분하기도 하나, 호남에서는 광주와 전주 모두 노선에 구 를 구분하지는 않는다.

군 경계를 넘는 노선은 엄밀히 시계를 넘는 건 아니지만 시계외노선으로 총칭한다.

시내버스 여행할 때는 시 경계를 넘을 방법이 시계외노선밖에 없어서 중요하다. 특히 도시 간 연계가 적은 지역을 넘어가는 것이 고난이도.

호남 지역은 지역 인구가 적고 도시 광역권이 발달하지 못해서 수도권처럼 시계외노선이 많지는 않다. 그러나 인접 지역 간 시계외노선이 빈약하게라도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시계외노선이 매우 적은 경상남도 지역에 비해서는 훨씬 사정이 나은 편이다. 임실군순창군처럼 여러 지역에 한 회사가 버스를 운행하는 경우는 시계외노선이 당연하다는 듯 있다. 대신 이런 경우는 대부분 추가요금을 무지하게 받는다. 군 지역에도 시계외노선이 몇 개는 흔히 있다.

2. 목록 [편집]

2.1. 광주-전남 간 시계외노선 [편집]

    • 좌석02 (증심사~한전공대): 광주를 구도심부터 송정리까지 싹 훑고 나주 혁신도시로 향하는 급행버스 노선. 배차 간격은 5분이다.
    • 대촌170 (도래~롯데백화점): 방면은 대촌으로 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남평. 1시간 정도 간격으로 다도면에서 광주로 올라간다.
    • 진곡196 (진곡산단~동신대): 20분 간격으로 송정리와 나주를 잇는 노선이다. 다만 나주시내로 깊게 들어가지 않고 나주시가지 구석에서 노선이 끊긴다.
    • 160번: 영산포에서 출발해 나주시내를 지나 노안, 송정리, 문흥동으로 향하는 노선이다. 배차 간격은 10분. 진곡196번처럼 나주에서 가장 빨리 광주로 가는 노선이다. 노안면에서의 굴곡이 조금 있는 대신 나주시내에서도 이용가능하고 배차간격이 훨씬 낫다. 광주를 가로지르기 때문에 광주시내 이용객이 많다.
    • 999번: 영산포에서 출발해 나주시내, 혁신도시, 남평을 지나 대촌, 광주구도심, 전남대로 향하는 노선이다. 배차 간격은 10분. 노선이 상당히 길어서 배차가 자주 깨진다. 간선노선임에도 굴곡이 다소 심하다. 특히 혁신도시~나주 구간은 금천쪽으로 돌아가는 바람에 송월동으로 바로 꽂는 시내버스보다 오래걸린다. 광주시 운송업체들의 반발로 광주시 일부 정류장에 정차할 수 없어서 강제로 급행버스가 되었다.
    • 1160번: 영산포에서 출발해 나주역, 혁신도시를 경유한 뒤 송정리, 광주공항으로 향하는 노선이다. 배차간격은 38분. 나주에서 광주공항으로 가는 이용객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정작 나주시내를 지나지 않는 것이 흠이다. 나주시 버스임에도 광주공항에서 가장 자주 오는 시내버스이다.
    • 모든 노선: 차고지가 덕흥동에 있어서 화순교통의 모든 노선이 광주에서 출발한다. 특히 유스퀘어에서 화순교통 차량을 자주 볼 수 있다. 모든 노선의 광주시내 구간은 덕흥동~유스퀘어~대남대로~너릿재로 동일하다. 다만 칠구재로 넘어가는 일부 노선만 광주대 방향으로 다닌다.
    • 311번: 고속버스를 타는 농어촌버스로 유명하다.

2.2. 여순광 시계외노선 [편집]

    • 77번 (제일고~광양터미널): 순천에서 가장 자주 다니는 노선으로, 10분 간격, 출퇴근 시간에는 7~8분 간격으로 순천과 광양읍을 잇는다.
    • 777번 (청암대~광양터미널): 30분 간격으로, 77번과는 순천시내 구간이 완전히 다르다.
    • 23번 (제일고~세풍): 시 경계를 살짝 넘는 외곽 노선.
    • 88번 (검단산성~벌교): 30분 간격으로 2번 국도를 내달려 순천벌교를 잇는다. 시계외요금이 있으나 벌교터미널까지는 기본요금이다. 전성기 시절에는 10분 간격으로 운행했다.
    • 94~96번 (제일고~율촌): 율촌은 여수시에 속함에도 순천 버스가 자주 다닌다. 노선 각각의 배차간격은 1시간에서 2시간 정도이지만 모두 합하면 못해도 30분에 한 대는 본다. 추가요금이 있다.
    • 960번 (제일고~여수시청): 2018년 여수시, 순천시의 합의로 신설된 광역버스 노선이다. 1일 5회 운행하지만 순천에서 기본요금으로 여수까지 갈 수 있어 제법 인기가 많다.
    • 33, 34번 (미평~율촌): 종점발 운행시 호두리까지 올라가며 순천 땅을 잠깐 밟는다.
    • 330번 (미평~순천역): 2018년 여수시, 순천시의 합의로 신설된 광역버스 노선이다. 1일 5회 운행하지만 여수에서 기본요금으로 순천까지 갈 수 있어 제법 인기가 많다.
    • 610번 (둔덕~광양시청): 2018년 여수시, 광양시의 합의로 신설된 광역버스 노선이다. 1일 5회 운행하며 추가요금이 없다. 둘다 산업도시라 그런지 출퇴근 시간대에 제법 승객이 많다.
    • 220번 (나진~우두): 여수~고흥 간 연륙연도교가 개통하고 1년 뒤에 신설된 마을버스 노선이다. 섬 지역의 교통편의를 위해 운행하지만, 적금도에서 팔영대교를 건너 고흥군에 딱 한 정거장 정차한다.
    • 990, 991번 (중마터미널~송보7차): 20~30분 간격으로 동광양에서 광양읍을 거쳐 순천까지 가는 노선이다. 동광양~숨천 간 추가요금이 있다.
    • 270번 (광양교통~여수시청): 2018년 여수시, 광양시의 합의로 신설된 광역버스 노선이다. 1일 5회 운행하며 추가요금이 없다. 둘다 산업도시라 그런지 출퇴근 시간대에 제법 승객이 많다.
    • 18, 54번 (광양교통~하동터미널): 광양에서 하동까지 가는 노선으로 제법 자주 운행한다. 하동터미널이 하동역 앞으로 이전하자 연장되었다.
    • 35, 35-1번 (하동터미널~화개): 하동 생활권인 다압면 주민에 대한 배려 성격이 강한 노선이다. 딱 한 대로 하동과 다압, 화개를 잇는다. 화개로 들어가기 전 구례군에 딱 한 정거장 정차해서, 노선이 짧음에도 3개 시군에 운행하는 시내버스이다.
    • 15번 (광양교통~하천리): 종점이 구례군으로 시 경계를 살짝 넘는다.

2.3. 전주-근교 시계외노선 [편집]

전주시의 경우 바로 옆 완주군이 자체적인 버스회사가 없어서 전주시 시내버스 업체에서 완주까지 간선노선을 운행한다.
  • 644번: 전주시내를 훑고 김제 원평까지 간다. 배차 간격이 극악이다.
  • 79번: 전주에서 김제 금산사까지 잇는다. 배차 간격은 1시간으로 나쁘지 않으나 금산사에 김제 버스가 자주 다니지 않아 연계는 어렵다.
  • 26번: 김제에서 유일하게 전주까지 다니는 노선으로, 김제시내에서 전북도청까지 간다. 양 도시를 직접 연결하는 노선으로는 유일하다.

2.3.1. 봉동,삼례,고산 방면 [편집]

2.3.2. 관촌,상관,구이 방면 [편집]

2.4. 익산시 시계외노선 [편집]

    • 20번: 익산에서 대야 가는 노선으로, 배차 간격이 30분으로 준수하다. 대야에 군산 버스도 제법 자주 다니므로 환승하여 군산까지 갈 수 있다.
    • 27, 28, 30번: 익산에서 군산 임피/호원대학교/서수면까지 가는 노선이다.
    • 33번: 1시간 간격으로, 군산에서 대야, 함열까지 가는 노선이다.

2.5. 목포-근교 시계외노선 [편집]

    • 200번: 목포에서 목포대를 거쳐 무안으로 가는 좌석버스. 목포시와 무안군이 공동배차한다.
    • 800번: 목포에서 일로읍을 거쳐 무안으로 가는 좌석버스. 200번보다 소요시간과 배차간격이 길다
    • 130, 150번: 목포와 신안 압해도 송공항을 잇는 시내버스. 목포시와 신안군이 공동배차한다.
    • 300, 500번: 목포와 영암 서부를 잇는 노선. 300번은 삼호읍 서부, 500번은 독천으로 가는 좌석버스이다.
    • 영암에서 독천, 삼호를 거쳐 목포로 가는 농어촌버스가 25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1] 이는 시내버스 면허를 부여하는 주체가 특광역시/시군이기 때문이다.